내집마련의 첫 걸음은 모델하우스에서부터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모델하우스를 둘러 보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본격적인 분양 성수기를 맞아 각 지역 모델하우스에서는 내 집 마련하려는 수요자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델하우스 방문시 확고한 기준 없이 그냥 둘러만 보며 계약하다간 큰 낭패를 볼수있습니다.
똑소리나게 모델하우스를 둘러 보는 방법을 가르쳐드립니다.
우선 모델하우스 방문전에 챙겨가야 할 물품으로는 메모를 할 수 있는 수첩과 필기구 , 그리고 방과 거실 등 공간을 실측 할 수 있는 줄자
또 한가지는 모델 하우스 방문전에 아파트 분양에 대한 세부 내용이나 일정을 미리 인터넷이나 신문을 통해서 수집해 두면 엄청 편리합니다.
첫번째. 방문 전 사전정보 수집
방문하기 전 분양 가격이 주변 아파트 가격 수준과 비교해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지 충분히 고려해보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분양 소식이 나오면 분양아파트 관련 인터넷 동호회가 생기게 되는데 여기에 가입하여 정보를 모으는 것이 알짜베기 정보를 만날수 있습니다.
두번째. 동선을 계획하고 둘러보기
모델하우스 내부에 들어서면 어느 곳부터 봐야 할지 갈팡질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려한 모델하우스의 인테리어를 보고 있자니 어디부터 봐야 될지 막막하실겁니다. 이렇게 보시면 한결 수월 하실거 입니다.
① 우선 단지배치도의 건물형태, 조망, 동간 거리, 경사도와 주차공간등 확인
② 자연환경, 도로, 대중교통 여건, 교육환경 생활인프라 등 주변현황 확인
③ 그리고 각 모델하우스의 평면도(구조)
④ 각 방의 위치 확인 및 가구배치 구상
이렇게 번호 순 대로 모델하우스 관람하시면 정말 내가 살기 좋은 집을 고르는데 한결 수월합니다.
세번째. 카달로그와 같이 확인
카달로그와 대조하면서 특이사항을 그때그때 적어놓으면 좋습니다. 집에 들어가서 카달로그를 본다면 훨씬 기억에 남지 않을까요?
가족 구성원과 실별로 표시되니 실제 치수를 고려해 각방의 가구 배치를 유념해서 둘러보는게 좋습니다.
네번째. 옵션품목과 전시품 구별하기
모델하우스에 설치된 가스 오븐이나 식기세척기, 김치냉장고 등 가전제품과 가구가 옵션품목인지 전시품목인지 꼭 확인하셔야합니다.
모델하우스에는 분양을 하기위한 최대한의 인테리어 치장으로 분양자를 기다립니다.
이밖에도 발코니 확장여부, 마감재 종류 등을 찾아보고 이 부분도 분양가에 포함됐는지 꼭 확인해주셔야됩니다.
카달로그에 별도의 표기가 없을 시에는 꼭 물어 보시는 것을 잊지마세요!
다섯째. 주방, 화장실등을 체크하기
주방의 경우는 주부가 하루를 보낼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꼼꼼하게 살펴야합니다.
⊙ 싱크대의 높이. 수납공간의 깊이
⊙ 식탁과 냉장고를 놓을 위치
⊙ 주방 동선 확인
⊙ 환풍기 및 창문여부
⊙ 바닥 타일
⊙ 배수가 잘되는지 확인
등등 꼼꼼하게 체크해야합니다.
여섯째. 계약내용 챙기기
모델하우스 방문 뒤 곧장 계약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현장 분위기에 휩쓸려 판단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개인의 금융 현황을 잘 파악하고, 대출이 필요하다면 소득증면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되겠습니다.
또한, 입주 시점과 계약파기 시 해결책도 상담원을 통해 미리 확인해 두는 게 좋습니다.
입주 후 문제 발생 시 입주 자료로 활용할수 있으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일곱째. 아파트 공사현장가보기
실제로 아파트가 지어지는 현장을 직접 방문해 주변 상황을 확인해 보는게 좋습니다.
통상적으로 현장이 모델하우스와 멀리 떨어져 있으면 교통 사정이 좋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직접 찾아가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현장에 방문했다면 교통, 교유그 편의시설과의 거리도 다시금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지 스마트폰 지도만 믿어서는 절대 안됩니다.
이상으로 내집마련의 첫걸음이 되는 모델하우스 보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유익하고 좋은 정보였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쵸로로's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염 효능 및 죽염의 섭취방법 (0) | 2017.08.30 |
---|---|
장마철 빨래말리기 (0) | 2017.07.13 |
윈도우10 크리에이터 기능 (0) | 2017.07.09 |
프리레틱스 운동법 (0) | 2017.07.08 |
지진의 원인과 대피요령 (0) | 2017.07.07 |